
매매 공유 카톡방
https://open.kakao.com/o/stirZdRf
김대리님의 오픈프로필
open.kakao.com

ㅁ비트코인
ㅁ비트코인 / 6만 탈환
미국 민주당 / 크립토 포 해리스 캠페인 본격화
러시아 / 코인채굴 합법화, 국제결제도 허용
미국 / 경기침체 우려 완화
전일 리플 승소판결 이후 호재가 추가되며 강한 상승이 나왔습니다
횡보하든 추가상승하든 6만 위에서 움직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이탈이 나온다면 지지선 59000 초반입니다
ㅁ골드


2435.00 & 2445.00 으로까지 확대를 목표로 2412.00
다른 시나리오: 2412.00 이하에서 2402.00 & 2393.00을 목표로 추가 내림세
코멘트: RSI가 추가 처리를 요청합니다.
지지선과 저항선 :
2458.00
2445.00
2435.00
2425.00 쟌
2412.00
2402.00
2393.00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8/9 >
1) 미국 주간 신규 실업수당 신청, 거의 1년래 최대폭 감소
미국 3일 마감 주간 신규 실업수당 신청건수는 시장 예상치 24만 건을 하회한 23만 3,000건으로 작년 9월 중순래 가장 큰 폭 감소. 이는 미시간과 미주리, 텍사스 주 등 최근 큰 폭으로 증가했던 지역에서 신청건수가 줄어든 영향 때문으로, 고용이 빠르게 악화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팬데믹 이전 추세로 되돌아가고 있다는 점을 시장에 확신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 High Frequency Economics의 Carl B. Weinberg와 Rubeela Farooqi는 연준 정책에 영향을 미칠 향후 노동시장의 현저한 약화를 예견하는데 유용한 해당 지표가 현재로선 경기 위축이 아닌 완만한 둔화 신호를 보여준다고 진단
2) 日 연내 금리인상 베팅↓. BOJ 7월 인상에 따른 시장 혼란 예상 못해
트레이더들이 단 일주일 만에 일본은행(BOJ)의 연내 추가 25bp 금리 인상 가능성을 30%로 절반 이상 낮췄음. 우치다 신이치 BOJ 부총재가 금융 및 자본시장이 불안정한 상황에서는 금리 인상을 자제할 방침이라고 약속하며 강력한 비둘기파적 신호를 보낸 점이 주효. BOJ 금정위 의사록 요약본에 따르면 한 정책위원은 완만한 금리 인상이 통화 완화의 정도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긴축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언급. 이는 BOJ가 당시 정책 결정 및 메시지가 글로벌 시장을 뒤흔들 정도로 파장이 클 줄은 예상치 못했음을 시사. 스즈키 슌이치 재무상은 여러가지 요인들이 금융시장 움직임을 주도하고 있으며, 알고리즘 트레이딩도 최근 일본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초래한 잠재적 요인으로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음
3) 바클레이즈, ‘엔화 급등 후 다시 안전자산처럼 거래될 듯’
바클레이즈는 최근 엔화 가치가 급등한 점에 대해 엔화가 다시 한번 금리 차별화에 따라 거래되는 모습이라며, 다만 성장에 대한 두려움이 주식 매도세로 이어질 경우 엔화의 안전자산 역할이 재부각될 것으로 예상. 신이치로 카도타는 달러-엔 환율이 4월 말부터 7월 초까지는 미-일간 금리 격차로부터 디커플링되는 모습을 보이다가, 금리 격차가 갑자기 좁혀지고 주식 매도세가 촉발되면서 엔 캐리 포지션이 청산되자 마침내 금리 차별화에 맞춰 급락하기 시작했다고 설명. 바클레이즈는 달러당 160엔으로 제시한 연말 전망치에 리스크가 있다며,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가와 FX 중립 캐리의 조기 도래를 고려할 때 엔 캐리 트레이드는 이전에 예상했던 것만큼 광범위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지적
4) 중국, 채권시장 기록적 랠리에 투기세력 단속 확대
중국 당국이 채권 투기세력에 대한 단속을 확대. 24시간 사이에 중국 국영 은행들이 시장에서 인기 높았던 7년 만기 채권을 갑작스럽게 팔기 시작. 당국은 부유한 지역의 일부 대출 기관에게 국채 거래를 중단할 것을 요청했고, 규제 당국은 새로운 채권 펀드에 대한 승인을 늦춘 것으로 알려졌음. 중국이 금리 인하를 통해 경제 성장을 우선시할 것이라는 베팅이 일면서 국채 벤치마크 금리가 사상 최저치로 떨어지자 중국 당국이 기록적인 채권 랠리에 보다 강력히 맞서는 모습. ING은행의 Lynn Song는 채권 시장 버블 우려로 인해 정책당국이 조치를 취하기 시작한 듯 보인다며, 필요시 채권을 빌려 시장에 내다팔거나 구두 개입이 나올 수 있다고 경고
5) 트럼프, ‘대통령이 금리에 발언권 가져야’
도널드 트럼프 후보는 대통령이 금리와 통화정책에 대해 일부 발언권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지켜온 오랜 관행에 반기를 든 셈. “나는 큰 돈을 벌었고 매우 성공했다”며, “나는 많은 경우 연준 이사나 연준 의장이 될 사람들보다 더 나은 본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발언. 또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준금리를 다소 너무 이르거나 너무 느리게 움직이고 있다고 비판. 1970년대 후반부터 미국의 대통령들은 금리를 놓고 연준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려는 유혹을 자제해왔음. 트럼프는 연준이 선거 직전에 금리를 인하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해왔음

[뉴욕증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83.04포인트(1.76%) 상승한 3만9446.49에 마감
S&P500지수는 119.81포인트(2.3%) 오른 5319.3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64.22포인트(2.87%) 상승한 1만6660.02에 거래를
S&P500지수는 종가 기준 2022년 11월 이후 최고로 마감
주요 종목 중엔 마이크로소프트(MS)가 1.07% 상승했고 메타와 애플은 각각 4.24%, 1.66%
엔비디아는 6.13%, 테슬라는 3.69% 상승
고용지표 부진에 따른 경기침체 불안 속에 급락과 반등을 반복하던 지수는 다시 상승 전환
새로 발표된 실업지표 덕분
CNBC방송에 따르면 미국 노동부는 3일 끝난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가 전주 대비 1만7000명 감소한 23만3000명을 기록했다고 발표
이는 시장 전망치인 24만 건을 밑도는 수치로, 그간 일자리 증가가 둔화하고 있다는 시장의 불안을 일부 해소

[시장전망]
밤사이 미국 증시는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예상치를 하회하자 경기 침체 우려가 일부 완화되며 기술주를 중심으로 3대 지수 모두 큰폭으로 상승 마감.
업종별로는 전업종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헬스케어와 임의소비재와 에너지, 커뮤니케이션 업종의 상승폭이 크게 나왔으며, 특히 빅테크 기술주들의 강세가 컸던 하루.
우리 시장은 2% 이상 상승 출발이 예상되고, 그동안 부진했던 반도체와 2차전지의 반등 여부가 관심. 반도체와 2차전지 반등시 바이오와 조선, 건설 등 최근 강세 업종이 동반 상승 흐름인지 등락이 엇갈리는지 확인 필요.
미국 증시가 강하게 올라왔는데, 미국 증시 주요 기술주들 강세에 국내 반도체 업종이 얼마나 반응할지가 오늘장 가장 중요한 체크 사항이 될 것으로 보임.
증시 폭락의 주요한 이슈였던 엔화 강세와 불황 우려가 어느 정도 정리되어 가는 것으로 보여 일단 시장 반등에 대한 기대감은 커지고 있음.
하지만, 아직은 방향성 여부를 섣불리 예상하기 보다는 바닥을 확인후 주력 비중은 승부한다는 전략으로 개별 종목에 대한 대응이 더 필요한 시장.
신용이 큰 폭으로 감소한 부분은 향후 시장 반등이 긍정적인 요인으로 보이며, 어제 일시 후퇴했던 외국인들이 오늘 다시 복귀하는지, 규모는 얼마나 되는지 확인.
단기 이슈로는 비만치료제 관련주, 반도체, 건설주, 인터넷 플랫폼, 제약바이오, 조선 등 관심.

본 정보는 매매 참고용일 뿐
해당 자료에 대한 책임에 대해 지지 않습니다.
해당 자료를 매매에 이용할 경우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김대리 매매일지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watch?v=77LtfX0emN8
2024년 8월 9일 금요일 | ||||||||
하루 종일 | 휴일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여성의 날 | ||||||
하루 종일 | 휴일 | 싱가폴 - 개천절 | ||||||
00:30 | USD | 4주일물 국채 입찰 | 5.285% | 5.285% | ||||
00:30 | USD | 8주일물 미 국채 입찰 | 5.190% | 5.230% | ||||
01:00 | USD |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GDPnow (3분기) | 2.9% | 2.9% | 2.9% | |||
02:01 | USD | 30년물 국채 입찰 | 4.314% | 4.405% | ||||
04:00 | USD | FOMC 위원 Barkin 연설 | ||||||
05:30 | USD | Fed's Balance Sheet | 7,175B | 7,178B | ||||
05:30 | USD | 연방준비은행 지급준비금 잔액 | 3.373T | 3.179T | ||||
08:00 | COP | 소비자물가지수 (MoM) (7월) | 0.20% | 0.29% | 0.32% | |||
08:00 | COP | 콜롬비아 소비자물가지수 (YoY) (7월) | 6.86% | 6.94% | 7.18% | |||
08:50 | JPY | M2 통화재고 (YoY) | 1.4% | 1.6% | 1.5% | |||
08:50 | JPY | M3 통화공급 (7월) | 2,168.3B | 2,167.7B | ||||
10 분 | AUD | 호주국민은행 경기신뢰지수 (7월) | 4 | |||||
10 분 | CNY | 중국 소비자물가지수 (MoM) (7월) | 0.3% | -0.2% | ||||
10 분 | CNY | 중국 소비자물가지수 (YoY) (7월) | 0.3% | 0.2% | ||||
10 분 | CNY | 중국 생산자물가지수 (YoY) (7월) | -0.9% | -0.8% | ||||
13:00 | MYR | 말레이시아 산업생산 (YoY) (6월) | 4.7% | 2.4% | ||||
13:00 | MYR | 말레이시아 실업률 (6월) | 3.3% | |||||
13:00 | IDR | 인도네시아 소매판매 (YoY) (6월) | 2.1% | |||||
14:30 | EUR | 프랑스 실업률 (2분기) | 7.5% | 7.5% | ||||
15:00 | EUR | 독일 소비자물가지수 (YoY) (7월) | 2.3% | 2.2% | ||||
15:00 | EUR | 독일 소비자물가지수 (MoM) (7월) | 0.3% | 0.1% | ||||
15:00 | EUR | 독일 소비자물가지수 (YoY) (7월) | 2.6% | 2.5% | ||||
15:00 | EUR | 독일 소비자물가지수 (MoM) (7월) | 0.5% | 0.2% | ||||
16:00 | CHF | SECO 소비자동향 (3분기) | -36 | -24 | ||||
16:30 | THB | 통화스왑 (달러) | 27.5B | |||||
16:30 | THB | 외환보유고 (미국달러) | 228.7B | |||||
16:30 | IDR | 인도네시아 오토바이 판매 (YoY) (7월) | 3.50% | |||||
17:00 | EUR | 이탈리아 소비자물가지수 (MoM) (7월) | 0.5% | 0.1% | ||||
17:00 | EUR | 이탈리아 소비자물가지수 (YoY) (7월) | 1.3% | 0.8% | ||||
17:00 | EUR | 이탈리아 소비자물가지수(담배 제외) (YoY) (7월) | 0.8% | |||||
17:00 | EUR | 이탈리 유로존조화물가지수 (MoM) (7월) | -0.8% | 0.2% | ||||
17:00 | EUR | 이탈리 유로존조화물가지수 (YoY) (7월) | 1.7% | 0.9% | ||||
18:00 | EUR | 이탈리아 무역수지 (6월) | 5.550B | 6.430B | ||||
18:00 | EUR | 이탈리아 EU국 상대 무역수지 (6월) | 0.52B | |||||
18:40 | EUR | 이탈리아 1년물 BOT 국채 입찰 | 3.483% | |||||
20:30 | INR | 인도 은행대출증가량 | 14.0% | |||||
20:30 | INR | 예금 성장 | 11.3% | |||||
20:30 | INR | 인도 외환보유고 (미국달러) | 667.39B | |||||
21:00 | CAD | 선행지수 (MoM) (7월) | 0.15% | |||||
21:00 | BRL | 브라질 소비자물가지수 (YoY) (7월) | 4.47% | 4.23% | ||||
21:00 | BRL | 브라질 소비자물가지수 (MoM) (7월) | 0.35% | 0.21% | ||||
21:00 | BRL | 브라질 소비자물가지수(계절 조정) (MoM) (7월) | 0.28% | |||||
21:30 | CAD | 시간당 평균 임금 정규직 (7월) | 5.6% | |||||
21:30 | CAD | 고용변동 (7월) | 26.9K | -1.4K | ||||
21:30 | CAD | 전일제고용 변동 (7월) | -3.4K | |||||
21:30 | CAD | 시간제고용 변동 (7월) | 1.9K | |||||
21:30 | CAD | 생산활동참여지수 (7월) | 65.3% | |||||
21:30 | CAD | 실업률 (7월) | 6.5% | 6.4% |
매매관점 공유 카톡방
https://open.kakao.com/o/stirZdRf
김대리님의 오픈프로필
open.kakao.com
'김대리 매매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월 13일 주식+외환+코인 수익 및 매매 일지 (체크 사항 및 이슈) (0) | 2024.08.13 |
---|---|
08월 12일 주식+외환+코인 수익 및 매매 일지 (체크 사항 및 이슈) (0) | 2024.08.12 |
08월 08일 주식+외환+코인 수익 및 매매 일지 (체크 사항 및 이슈) (0) | 2024.08.08 |
08월 07일 주식+외환+코인 수익 및 매매 일지 (체크 사항 및 이슈) (0) | 2024.08.07 |
08월 06일 주식+외환+코인 수익 및 매매 일지 (체크 사항 및 이슈) (0) | 2024.08.05 |